- 스마트공장 부문 기술 창업 소재가 있는 예비창업자의 원활한 창업사업화를 위하여 사업화 자금, 창업교육, 멘토링 등을 지원
- 시제품 제작, 마케팅 등 사업화 자금을 바우처로 지급하고, 창업역량교육 및 전담 멘토링 등을 통해 초기 창업역량강화 지원
신청자격
사업공고일까지 창업경험(업종 무관)이 없거나, 공고일 현재 신청자 명의의 사업체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자
* 폐업 경험이 있는 자는 이종업종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생산하는 사업자를 창업할 예정인 경우에 한하여 신청 가능
신청절차
-
01
예비창업자
신청 접수 -
02
요건검토 및
선정평가(서류평가, 대면평가) -
03
지원대상
선정 공지 -
04
협약준비 및
수정사업계획서 제출 -
05
사전교육(8시간)
이수 -
06
협약체결 및
사업비 지급 -
07
사업수행
(8개월) -
08
중간/최종보고 및
점검
※ 제출서류 : 양식 다운로드(www.k-startup.go.kr)
1. 신청 시 제출 : 특화 분야 예비창업패키지 사업계획서 및 기타 참고자료(도면, 설계도 등),
가점 관련 증빙서류(팀창업 신청서, 특허권 및 실용신안권, 창업경진대회 수상, 감염병 관련 기술 창업 신청서 등)
2. 서류평가 통과 시 제출 : 대표자 신분증, 사실증명(사업자등록사실여부), 창업여부 확인서
사업내용

▶ 역량강화교육
구 분 | 세 부 내 용 | 시 간 |
---|---|---|
기본창업 | 기업가정신, 기술창업 프로세스와 방법 이해 | 2H |
심화창업 | 비즈니스 모델 구축의 기초 / 비즈니스 모델과 린 스타트업 | 4H |
창업실무 | 기술창업 실무절차 / 효과적 자금조달 방안, 지적재산권 이해 | 4H |
특화분야 | 스마트공장 주요트렌드 이해 | 3H |
IR향상 | IR 기본프로세스 이해, 국내외 투자유치 사례 / 1분 IR 스크립트 작성 | 3H |
▶ 전담 멘토링

▶ Pre-Startup Boot Camp
구 분 | 세 부 내 용 | |
---|---|---|
DAY 1 | IR자료 세부점검 |
|
피칭 트레이닝 |
|
|
Network Hour |
|
|
DAY 2 | Demo Day |
|
▶ Pre-Startup Network Day
- 창업기업 전원이 참여하는 클로징 네트워크 데이를 통해 창업성공을 위한 정보교환 및 투자자 네트워킹 기회의 장 마련
- 우수 예비창업기업 선정 및 포상금 시상 예정
▶ 자율 프로그램
- 온라인 포인트 멘토링 : 전담멘토 외 외부 전문가의 기업경영 자문
- CEO조찬회 참가 등을 통한 기업 네트워크 확보 및 판로개척 기회 지원
- 글로벌 커머스(Amazon 등) 판매가이드 제공 - 글로벌 커머스 등록에 관한 전 과정 가이드 제공
예비창업자 지원사항
- 국내·외 액셀러레이터 및 VC 매칭, 협회 회원사 대상 판로개척 등 사업 연계
- 산·학·연 협력 네트워크를 통한 Open Innovation 실행
- 사업 관련 표준 및 인증 정보 제공
- IR 브로셔 제작 지원, 창업공간 활용 기회 제공
- KSA의 축적된 창업컨설팅 Know-how 공유